환테크란?전 세계적으로 사용하는 통화는 매우다양하다. 우리나라 원부터 달러, 위안화, 엔화 등등각 국의 통화의 가치는 매일 매일 변화한다. 일명 환율이란 이름으로 통화의 가치를 평가한다.이 매일 달라지는 환율을 이용한다면 수익을 낼 수가 있는 것이다. 즉, 환차익을 이용해서 돈을 버는 방식.저렴한 가격에 통화를 사뒀다가 환율이 올라갔을 때 팔면 차익이 발생하는 거다. 환테크는 주로 달러, 유로, 엔화를 통해서 많이하는데 현재 달러는 1,300원 대로 높은 가격이기 때문에 엔화를 사보기로 했다. 여기서, 다들환테크를 해야하는 이유 1. 환차익은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 2. 안전통화이다.3. 토스를 이용하면 수수료가 무료이다.4. 매입후 환율이 자꾸 떨어진다면 여행경비로 쓰면 된다. 5. 기업공부, 부동..
1. 현대차 충칭공장 3000억에 매각 현대차가 영업손실을 줄이고 고성능/고급화와 현지 맞춤형 생산 전략으로 전열을 재정비하고자 중국에 매각했다. 유사) 애플 중국서 아이폰 가격 5%인하. 애플이 아이폰 가격을 인하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는 중국에서 경쟁이 심화돼 아이폰 판매가 둔화하고 있기 때문. 경쟁업체 중국 화웨이가 출시한 최신폰 '메이트 60프로'가 애국주의 소비에 힘입어 잘팔리고 있다. => 예전에는 짝퉁의 나라라고 무시받단 나라가 이제 각종산업에서 우위를 점하는 걸 보니 이제 중국시장은 점점 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 '총선 승부처'된 1400만 개인투자자 4월 총선을 앞두고 정치권이 개미투자자를 겨냥한 정책을 앞다퉈 내놓고 있음. 공매도 한시금지와 대주주 양도세 완화 카드를 꺼낸..
1. 요소수 대란 공포 중국 자국의 요소 재고가 부족해지지 지난달부터 우리나라에 요소 통관을 지연시키고 있음. 이 상황에서 '사재기'로 2년전과 같은 요소수 대란이 벌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1회 수매수량 제한함. 2021년 요소수 대란 이후 70% 밑으로 떨어졌던 중국 의존도가 올해들아 90%선으로 높아졌는데 그 이유는 물류비 때문이다. 2. 모두가 루저된 '직고용' 제빵사 일자리 25%감소 2018년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등 노총, 고용노동부 등이 제빵사 직고용을 압박해서 SPC그룹은 제빵사를 직고용했다. 그러나 제빵사 한 명당 점주가 내야하는 비용이 평균 340만원,, 최저도 못가져가는 점주들 제빵사 인건비 때문에 직접 제빵을 하는 점주들이 늘어남. 따라서 제빵사 일자리가 금감하고 20~30대 새내기 ..

현재 공부하면서 git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제까진 깃커밋과 푸시, 클론만 사용하는 정도였다. 하지만 곧 회사에 가게 된다면 당장 git으로 협업을 진행할 상황에 처할텐데, 이것조차 모른다면 개발자로써 자격이 없다는 생각이 들어 제대로 공부해두자 했다. 그동안 유튜브에서 깃관련 여러 영상들을 봤지만 헷갈리는 부분들이 많았는데 이번에 코딩애플 님의 강의를 보고 완벽히 개념을 잡았다. 코딩애플 선생님 진짜 최고 .. git에 이제 입문하는 사람이나 다른 영상들을 봐도 이해가 잘 안된다 하는 사람이 있다면 코딩애플님의 무료 git / github 강의를 추천한다. 나도 이제 git 사용할 줄 안다고 당당히 말할 수 있어!

React docs 정독/ 틱택토 게임 구현 요즘 react로 개인프로젝트 하나를 만드는 중인데 자꾸만 막히고 어떻게 구현해야할지 도통 감이 안오는 순간 들이 많다. 몇가지의 react 강의들을 보고 호기롭게 개인프로젝트를 시작했지만, 쉽게 주워들은 만큼 휘발성이 강해서 제대로 정리가 되지 않은 것 같다는 판단이 섰다. 그래서 기초를 다시 다져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리액트 공식 홈페이지 문서를 정독했다. 공식홈페이지를 읽고 다시금 정립한 개념들을 정리해두어야지 O.< ★ jsx 내부의 중괄호 안에 어떠한 js표현식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리액트의 컴포넌트는 캡슐화 되어 독립적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단순한 컴포넌트를 사용해 복잡한 ui를 구현할 수 있다. ★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className과..
Get 과 Post의 차이 이번에 react 프로젝트에서 카카오로그인을 구현하려고 rest api를 이용하는 방법을 리서치 하고 있는데, ( 카카오로그인 인가코드요청은 했는데 토큰을 받아오는 과정에서 며칠동안 막혀있다.. ㅠㅠ) 어떤 곳에선 get방식을 사용하고 또 다른 몇몇 곳에선 post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그래서 Get과 Post 이둘의 차이점부터 명확하게 알고 넘어가야겠다 싶었다. 우선 Get과 Post는 Http method 중 가장 많이 쓰이는 method인데 get은 가져온다는 개념이고, post는 수행한다는 개념으로 받아들이면 쉽다고 한다.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요청-응답 프로토콜이다. ) Get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어떠한 리소스로 부터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서..

소스제어에 공급자가 없습니다. 여느 떄처럼 어느 순간 VSC로 작성하던 파일을 커밋하려고 했는데 "소스제어에 공급자가 없습니다." 라는 문구만 남긴채 커밋이 불가능하게 되어있었다. 그래서 git파일이 삭제 되었나하고 프로젝트 폴더를 확인하였지만 git폴더가 그대로 있었고 그러면 로컬에 git이 삭제된 건가 했는데 그것도 아니였다. ㅠㅠ 당황스럽고 몇시간 째 해결을 못한상태로 구글링하다가 드디어 방법을 찾아서 해결 ! 툴바 확장에서 @builtin git 을 검색하고 사용을 누르면 된다. (왜 갑자기 비활성화가 된거지? ) 나와 똑같이 이 문제를 겪는 사람들이 헤매지 않고 해결을 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기록
Bcryptjs사용과 jwt (비밀번호 암호화하고 유저 인증하기) 회원가입시 비밀번호 문자열을 그대로 DB에 저장화는 것은 너무 안전하지 않다. 그래서 비밀번호 암호화 라이브러리인 Bcrypt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암호화 한뒤 DB에 저장한다. 과정은 이러하다. ① 모듈을 설치한다. npm install bcryptjs ② import 한다. import bcrypt from 'bcryptjs' ③ password를 암호화환다. hashSync함수를 통해 비밀번호를 해싱, const hash = bcrypt.hashSync("문자", salt) 여기서 파라미터로 넣어준 salt(소금 값)는 값이 높을수록 암호화 연산이 증가하여 해시를 해킹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소금값이 너무 길면 속도가 느려진다. ..
localStorage (브라우저에 데이터 저장하기) 자바스크립트로 웹 개발을 할 시 아무리 간단한 애플리케이션이라도 데이터를 어딘가에 저장해야 할 일이 생긴다. 보통 DB나 서버 클라우드플랫폼에 저장을 하지만 저장해야할 데이터가 별로 중요하지 않거나, 유실되도 무방할 데이터라면 서버 단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낭비일 수가 있다. 그래서 브라우저 상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인 웹 스토리지가 있는데, 웹 스트로지에는 localStorage와 sessionStorage가 있다. 이 두개의 차이는 데이터가 어떤 범위 내에서 얼마나 오래 보존되느냐에 있다. 세션스토리지는 웹페이지 세션이 끝날 때 저장된 데이터가 지워져서 잘 사용히지 않는다. 그에 반해, 로컬스토리지는 현재 도메인의 로컬 저장소에 데이터..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컴퓨터 구조는 크게 CPU, 메모리, 디스크, IO로 나뉘어져있다. 프로그램 개발(C++JAVA 등)는 컴퓨터가 이해하지 못하기에 컴파일을 하여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파일(실행 파일)로 만들어준다. 프로그램 개발 -> 컴파일 -> 프로그램 어셈블 -> 어셈블러 -> 기계어 코드 = 실행파일 이 실행파일 하나가 디스크에 저장됐다고 생각해보자. 코드 일부가 메모리로 올라가는데 이 과정을 프로세스라고 한다. 그리고 CPU에서 명령어를 처리하는데 CPU를 프로세서라고 한다.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되는데 사실 동시는 아니고 하나의 프로세서는 하나의 명령만을 처리하는데, 그 과정이 매우 빠르게 실행되어 동시에 처리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이때, 스케줄링이라는 개념이 나오는데 다중..
- Total
- Today
- Yesterday
- dns
- html
- spread operator
- Internet
- network
- flex
- ㅊC
- git #github #코딩애플
- 개구리게임
- DeepDive
- ip address
- 자바스크립트 #
- HTML #폰트태그 #이미지태그
- CSS
- React #React기초 #Reactdocs
- 환테크 #엔화투자 #환전수수료 #토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